“7월 5일 대지진·쓰나미 예언”…얼마나 근거 있나요?
서브타이틀: 만화가 예언, 실제 과학과는 전혀 다른 ‘루머’입니다
📚 1. 예언의 출처와 신뢰도
-
일본 만화가 타츠키 료(龍)가 1999년 발표한 만화 <내가 본 미래(The Future I Saw)>는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을 예언했다는 도시전설로 인기를 얻었습니다. 이후 2021년 개정판이 나왔고, “2025년 7월 5일 대지진·쓰나미”도 예언한 듯한 내용이 포함되어 화제가 되었습니다.
-
하지만 일본 기상청(일본기상청장 야나기 노무라)은 “지진의 발생 시기·장소·규모를 특정해 예측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고 공공연히 밝혔습니다.
🌊 2. 난카이 트로프지진과 쓰나미 가능성
-
난카이 트로프는 일본 남해 연안의 거대한 섭입대 지역으로, 향후 수십 년 내 8~9 규모의 메가 쓰나미 가능성 80%로 경고받은 장소입니다 .
-
그러나 “2025년 7월 5일 특정 시간”과 같은 정확한 예언은 불가능합니다. 공급 지진의 시기 예측은 미래 과학기술도 불가능한 분야입니다.
🌏 3. “X표시” 지역에서 쓰나미 발생 시 영향권
-
타츠키가 예언한 “X표시 지역”이 정확히 어느 위치인지 공식 언급은 없지만, 언급된 지역에는 대만·필리핀 주변 해저단층 또는 해령이 포함될 것으로 보입니다.
-
해당 위치에서 규모 8~9급 지진이 발생하면, 수 시간 내 제주·남해안·오키나와 등에도 쓰나미가 도달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실제 과학 모델링(1707년 호에이 지진 사례):
-
일본 후쿠시마 인근 해저지진 → 200분(3시간 20분) 후 제주 도달 → 300분(5시간) 후 남해안 도달 .
-
🇰🇷 4. 제주도에서 서울로 ‘피신’은 필요할까요?
-
쓰나미가 발생하면 해안 지역이 최우선 대응 대상입니다.
-
제주도, 부산, 여수 등 해안 지역 즉시 고지대로 대피(차량·보행)가 기본이며,
-
서울까지 대피하는 것은 비현실적입니다. 제주도 → 서울 이동에도 시간이 오래 걸리며 피폭 위험이 있으므로,
-
-
정부는 재난 문자, 해안 대피소 안내 절차로 현지 대응을 유도합니다.
✅ 결론 – ‘예언’이 아닌 실질적 준비가 중요합니다
-
특정일 예언은 루머로 볼 수밖에 없습니다.
-
지진·쓰나미 대비는 항상 필요합니다. 한국도 남해 연안 영향 가능성을 고려한 재난 대응 계획이 있습니다.
-
쓰나미 예측은 과학 데이터 기반으로 지진 발생 확인 직후 해안 대피 경보가 발령되며, 즉시 인근 고지대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제주도에서 서울까지 피신하는 계획은 비효율적이므로, 가까운 고지대 또는 대피소를 활용해야 합니다.
🧭 추가 정보 요약
-
현재 과학은 지진의 시점·규모 예측을 불가능하게 하고 있습니다.
-
난카이 트로프의 쓰나미 가능성은 중장기 리스크이며, 2025년 7월 5일은 루머 수준입니다.
-
쓰나미 발생 시 제주‧해안지역 → 인근 고지대 또는 대피소가 원칙이며, 서울 피해는 상정되지 않습니다.
-
안전을 위해 해안 경보 시 빠른 행동과 방재 교육 참여가 올바른 대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