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개표 방송 캐릭터 영상은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SBS 개표 방송 캐릭터 영상은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3D 그래픽, 실시간 데이터 연동, 애니메이션 기획의 결합


대통령 선거일마다 시청자들에게 큰 즐거움을 주는 콘텐츠 중 하나가 바로 지상파 방송사의 개표방송 그래픽입니다. 특히 SBS는 해마다 창의적이고 유쾌한 3D 애니메이션 캐릭터 개표 그래픽으로 주목을 받아왔습니다.


“어떻게 후보자들이 캐릭터처럼 자전거를 타고 경쟁하죠?”

“실제 투표율과 득표율이 움직이는 건 어떻게 되는 건가요?”

“저런 애니메이션은 미리 만들어 놓는 건가요, 실시간인가요?”

이번 글에서는 이런 개표방송 영상이 어떻게 기획·제작되고, 어떤 기술과 과정을 거쳐 실시간 방송에서 구현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SBS 개표 그래픽의 정체: '실시간 연동형 애니메이션'

우선 위 이미지에서 보이는 영상은 SBS 개표방송의 대표 콘텐츠인 실시간 캐릭터 애니메이션 그래픽입니다. 주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제작됩니다.


정치인 얼굴을 3D 또는 2D 캐릭터로 카툰화


득표율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콘셉트 정하기 (예: 자전거 경주, 달리기, 레이싱 등)


실제 개표 데이터와 연동되어 퍼센트와 속도 등이 실시간으로 반영됨


즉, 미리 만들어 놓은 단순 영상이 아닌, 실시간 데이터 기반의 인터랙티브 그래픽인 것입니다.


2. 제작 과정: 기획부터 방송 송출까지

① 콘셉트 및 캐릭터 기획

선거가 다가오기 수개월 전부터 SBS 보도국과 디자인팀은 방송의 콘셉트를 잡습니다.

예를 들어:


2012년: '런닝맨 개표'


2017년: '슈퍼히어로 레이스'


2022년: '레트로 게임풍 대결'


2025년: (예상) ‘사이버 우주 경쟁’ 등


기획팀은 후보자별 캐릭터 특징, 그리고 세대별 개표 결과를 게임 요소나 스포츠로 풀 수 있는 방안을 기획하고, 이에 따라 콘티를 구성합니다.


② 후보 캐릭터 디자인 및 모델링

후보자들은 실제 얼굴을 기반으로 디포르메(과장)된 2D 또는 3D 모델로 제작됩니다.

이때 사용되는 주요 툴은:


2D 캐릭터: Adobe Illustrator, After Effects


3D 캐릭터: Blender, Maya, Cinema4D, ZBrush 등


의상, 동작, 표정까지 각각 애니메이션으로 세팅되며, 표정 변화나 승패 상황에 따라 다양한 버전을 준비합니다.


③ 개표 데이터 연동 시스템 구축

여기서 핵심은 실제 개표 데이터와 실시간으로 연동되는 엔진입니다.

사용 기술은 주로 다음과 같습니다.


데이터 수집: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실시간 개표 API 또는 직접 확보된 방송사 개표데이터 활용


연동 엔진: Unity, Unreal Engine 등의 실시간 렌더링 시스템과 연계


자동 반영 로직: 득표율 수치 변화에 따라 캐릭터 속도·위치·움직임 등이 변함


이 시스템 덕분에 후보자의 퍼센트가 올라가면 캐릭터가 빨라지거나 1등 캐릭터는 승리 애니메이션이 나오는 것처럼, 방송 중 실시간으로 반응하게 됩니다.

3. 방송 송출: 실시간 렌더링 + 그래픽 믹싱

이러한 실시간 그래픽은 **방송국의 방송통제실(MCR)**에서 다음과 같이 운용됩니다.


CG 작업 스테이션에서 실시간 그래픽 출력


플레이아웃 서버와 연결해 방송 영상과 합성


필요 시 앵커 화면 옆에 크로마키 합성으로 띄우기도 함


애니메이션 영상은 미리 만들어 놓은 ‘결과 영상’이 아니라, 마치 게임처럼 실시간 연산되는 영상이며, 진행자가 말할 때마다 즉각적으로 변하는 결과를 보여줄 수 있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4. 대표 기술 요소들

기술 요소 설명

모션 캡처 (선택적) 실제 연기자 동작을 캡처해 캐릭터 애니메이션에 적용 가능

실시간 데이터 연동 API 선관위나 자체 서버를 통해 개표 수치를 초 단위로 불러옴

게임 엔진 활용 Unity/Unreal을 활용한 실시간 그래픽 구현

그래픽 자동 트리거 퍼센트 변화 시 애니메이션 자동 전환


5. 시청자 반응이 중요한 이유

SBS 개표 방송의 이러한 시각화는 단순한 재미를 넘어서 정보 전달의 효과성을 높이는 장치로도 평가됩니다.


예를 들어:


연령대별 득표율을 자전거 경주로 표현하면, 시각적으로 누가 강세인지 즉시 파악 가능


색상, 움직임, 이모티콘 등을 사용해 시청자의 이해도와 몰입도 증가


뉴스 시청층 외의 젊은 세대 유입에도 긍정적 효과


이는 단순히 디자인 예산을 쓰는 것이 아니라, 정보 전달력과 엔터테인먼트를 동시에 강화하는 전략적 콘텐츠 제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6. 마무리하며

요약하자면, SBS 개표방송에서 보여주는 애니메이션 캐릭터 영상은 단순한 영상 편집물이 아니라,


디자인 + 애니메이션 + 데이터 연동 + 실시간 렌더링이 결합된


고도의 방송 기술과 기획력이 집약된 콘텐츠입니다.


후보자들의 득표율을 실시간 반영하고, 시청자에게 쉽게 전달하기 위해 탄생한 이 영상은, 그 자체로 대한민국 방송 기술의 발전을 보여주는 사례이기도 합니다.


앞으로도 대선과 지방선거 때마다 방송사들의 기발한 개표 그래픽 경쟁은 계속될 것이며, 시청자들은 정치뿐 아니라 ‘방송 기술의 진화’를 함께 감상하는 특별한 경험을 하게 될 것입니다.

다음 이전

POST ADS1

POST ADS 2